ㅎㅇ
오늘은 라이즈 오브 킹덤즈(통칭 라오킹)의 현존 보병 최강 사령관 관우에 대해 설명을 해보겠음.
관우의 획득방법, 스킬, 특성, 사령관 조합에 대해 설명을 해보겠음 ㅋ
삼국지 애청자라, 다른 사령관에 비해 설명이 길어질 수 있음 주의

우선 관우임 ㅇㅇ
현재 존재하는 보병 사령관 중 가장 강력한 녀석
기병을 주로 키우는 필자의 입장에서, 적토마 하나 쥐어주고 기마병 사령관으로 나왔으면 하는 녀석
해넘이 계곡에서 좋은 녀석
유일한 보병 공성사령관인 녀석
스킬 아무것도 안찍어도 영웅 사령관보다 강력한 녀석
참고로 청룡언월도는 72근임
1. 관우 획득 법

관우는 “행운의 돌림판”으로 획득을 할 수 있음.
관우 각성을 노리시는 분이라면, 총 3회 진행하는동안 1회당 100번씩, 총 300번 돌리는 것을 추천함.
300회 돌렸을 때, 관우가 5551 정도 되는 것을 볼 수 있음.(약 300개의 조각상)
100회 돌렸을 시, 보상으로 45개 + 약 50개의 보상
300회면 300개 정도의 조각상이 모이게 됨.
여기서 한가지 팁을 주자면, 돌림판 보상은
10회 돌리기 보상 > 100회 돌리기 보상 > 70회 돌리기 보상 > 45회 돌리기 보상 > 25회 돌리기 보상
이렇게 됨.
45회로 2번 돌릴 정도의 보석이 있다면, 한번에 100개 돌리는 것이 더 이득임.
하지만, 돌림판을 돌리다가 촉나라의 기운을 받아서 8뚝이 나오는 기운을 느꼇다 하면 그냥 돌리는게 더 나음.
2. 관우 스킬

첫 번째 스킬[무성]
스킬피해가 2000이라는 무지막지한 피해량을 가지고 있고, 그것도 타깃을 무려 3개까지나 후려침.
한방에 뚝배기 3개를 깨트릴 수 있는거임. 케르베로스도 관우의 무성 한방에 뚝배기 다 깨짐.
그것도 모자라서 침묵까지 3초 걸어버리는 사기적인 특성임.
같은 전설사령관인, 엘 시드와 비교해보면
- 피해량 : 관우 2000 / 엘 시드 1000 / 심지어 관우는 스킬레벨 1때 1100임
- 타깃 수 : 관우 3타깃 / 엘 시드 1타깃
- 디버프 효과 : 관우 3초 침묵 / 엘 시드 1초 일반공격,스킬 금지
초기 구 사령관의 개편이 시급함
두 번째 스킬 [오호대장군]
보병 사령관 중 유일한 공성 사령관인 관우의 공성 관련 스킬임.
일반 공격력이 15%증가하고, 10% 확률로 상대 공격력을 30% 감소 시킴
공격력 30%라는 수치는 엄청난 수치로 수비대장의 공격력을 일시적으로 박살 낼 수 있음.
(그래도 집결은 아틸라+신겐이 압도적이라, 다굴로 디버프 걸어주는걸로 사용하면 좋을듯 함)
추가 설명으로, 오호대장군은 촉나라가 한중을 점령하고 5명의 대장군을 임명하는데 관우/장비/조운/마초/황충 이상 5명을 오호대장군이라 칭함
근데 관우가 유비를 오랫동안 따라다닌 관장조 3명은 ㅇㅈ하는데 어디서 굴러들어온 마초,황충이랑 동급취급 못받는 다고 거절 했다가 제갈량한테 쿠사리 함 먹었음ㅋ
관우 특 : 가오가 몸을 지배함
세 번째 스킬[온주참화웅]
보병 사령관 답게 보병 패스브 스킬임.
비슷한 시기의 사령관인 아틸라/신겐/람세스 같은 사령관을 보면 패시브 수치가 40%인데 그게 비해 조금 낮은 수치인 30%를 가지고 있음.
하지만, 치료량 1000을 가지고 있어, 야만인을 처치하거나, KVK기간 중 폐허/제단에서 오래 버틸 수 있는 생존력을 가짐
행군속도 증가 효과도 있어서 필드에 알렉산더가 나와 있다면 보병 신발이 휠리스가 되는 현상을 볼 수 있을것임
추가 설명으로, 온주참화웅은 술이 뜨듯할때 화웅의 뚝배기를 참한다는 뜻임
동탁군에 화웅이라는 B+급 장수가 있는데, 임마가 너무 쌔서 반동탁연합군 중에 아무도 잡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서 우물쭈물 하고있을때, 가오가 몸을 지배한 관우가 나서서 잡는다고 한거임. 이때 조조가 술한잔 마시고 가라고 했는데 관우가 “Nope”하고 화웅 목따고 와서 먹는다고 하고 진짜 목을 따옴. 그리고 술을 마시는데, 그때 술이 따뜻했다 라는 뜻임 ㅋ
네 번째 스킬[청룡언얼도]
안그래도 사기인 관우의 스킬을 더욱 더 사기로 만들어주는 스킬.
미나모토의 스킬이 50%확률로 600의 피해를 2번 주는거지만, 관우는 50% 확률로 바로 1000피해 꽂아버림.
심지어 2명 이상이 스킬에 맞으면 1400의 피해를 꽂아버림.
2명 이상의 타깃을 때리면 50% 확률로 3400의 피해를 준다고 볼 수 있음
게임에는 추가피해라고 적혀있지만, 실제로는 즉시피해계수가 적용 됨
(출처_유튜브 간도인왕)
각성 스킬[천리행]
관우가 방패를 획득하게 되면, 스킬 피해가 15% 증가함.
때문에, 관우의 부사령관은 방패가 있는 사령관을 사용하는것이 좋음. 또 “5초마다 1회 발동” 이러한 조건이 없기 때문에,
알렉산더 대왕 각성 시, 주변 부대에 주는 방패 효과로도 적용이 될 것으로 보임.
부사령관의 방패 + 인근 알렉산더의 방패 + 전설 악세사리 방패 효과가 여러개 중복 된다면, 3초가 아니라 패시브 수준으로 될 가능성도 있음
3. 관우 특성

관우는 평타를 이용한 누적 딜링을 주는 사령관이 아니라, 스킬을 사용해 한방 한방 강력한 피해를 주는 사령관이므로, 보병 특성보다는 스킬 특성을 가줌.
위에는 표시가 안되있지만, 스킬쪽에 있는 하트모양 추가 피해량 증가 스킬은 찍으면 안됨. 찍어도 올라가는게 없음.
보병쪽에서는 생존을 위해 피해량 감소가 있는 3번 스킬까지 찍어주고, 나머지는 선택형으로 특성을 찍어줌
선택형 특성들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올려주면 됨.
4. 관우 사령관 조합

1. [관우-레오니다스]
라오킹 보병의정석에 나와있는 정석 of 정석의 조합임.
관우를 주사령관으로 하면 3타깃 강력한 피해를 주고, 침묵을 주면 레오니다스가 이어 받아서 침묵상태의 적한테 50% 추가 피해를 줌.
체력이 50%이하일때 일정 확률로 방패를 주고, 공격력 증가 효과를 주는 레오니다스와 관우 각성이 합쳐지면, 50%이하일때 일정 확률로 방패를 획득하고 피해량 15%와 공격력 15%가 올라감 시너지가 아주 좋음.
집결 할때 주유 하면서 체력이 50% 이하로 내려간 상태로 주로 싸우기 때문에, 집결 시에도 유용함.
관우의 공격적인 면을 더욱 더 극대화 시켜주는 스킬들만 패키지로 가지고 있어서 보병 조합 중 최고라고 봐도 무방할듯 함
2. [관우-알렉산더]
사실 조합이라기 보다는, 그냥 쌘거 두개 붙여놔서 쌘 조합임.
관우를 짜장면이라고 치면, 레오니다스는 단무지 같은 느낌으로 짜장면을 더 맛있게 먹을 수 있게 하는 느낌임
알렉산더는 짜장면 먹는데, 소떡소떡이랑 같이 먹는거임. 조합은 그닥 잘 어울리는건 아닌데 둘다 맛있어서 맛있게 먹는 느낌임
알렉산더 자체가 워낙 좋은 사령관이라 관우가 좋아지는 느낌임.
3. [관우-화목란]
필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조합임.
관우, 이성계, 애설플레드와 같은 광역 사령관은 필드에서 타깃팅 당하기 쉬운데, 그럴때 사용하는게 화목란임.
지금까지의 사령관과는 다르게, 반격 시 디버프가 적용하는거라서 이누야샤에 나오는 나락의 독충같은 느낌임.
관우를 때리면 이상하게 분노가 적게 회복되는 상대를 볼 수 있을거임.
거기에 원형 범위 공/방/생 20%라는 미쳐버린 스킬까지 가지고 있어서 주변 모든 아군에게 패시브 스킬을 하나 더 주는 버프임
KVK진행 왕국이라면 왕국에 1명 이상은 꼭 보유자가 있어야 되는 사령관임.
(전야제 왕국 1위 보상 이상의 버프효과가 있을것으로 예상 됨)
이상임 ㅋ
관우 역사적 정보 (안읽어도 됨)
관우(약 160년 ~ 220년), 자는 운장, 본자는 장생으로, 하동군 해현(현재 산시성 원청시)사람이며, 동한 환제 때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그는 삼국 시기 유비의 핵심 무장으로, 장비와 함께 ‘만인적’으로 불렸습니다. 건안 4년(199년)에 한수정후로 봉해졌고, 적벽대전 이후 유비가 동오의 쥬유를 도와 남군의 조인을 공격할 때, 관우를 보내 북쪽 길을 막아 조조의 지원군을 차단했고, 이에 조인은 패퇴하게 됩니다. 이후 유비가 익주로 들어가자 관우는 형주는 지켰습니다. 건안 24년(219년), 관우가 양양과 번성을 포위하자, 조조는 우금을 보내 지원하였으나, 관우가 우금을 사로잡고 방덕을 참살하자, 조조는 허도로 천도를 결정합니다. 이후 조조는 서황을 보내 지원하자, 동오가 배신하고 육손과 여명을 보내 형주를 빼앗고, 관우는 죽음을 맞았습니다. 경요 3년(260년), 촉한의 후주 유선은 관우에게 장목후의 시호를 추증했습니다.
관우가 가장 특별한 점은 그가 중국의 오랜 문화 속에서 추앙을 받았다는 점이며, 심지어는 신으로도 숭배되어 한국과 일번, 베트남 등의 한자문화권 국가에까지 전파되었습니다. 그의 충의와 신의는 수 많은 백성들이 그를 관공, 관노야 등으로 부르며 숭상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후대 제왕들에게 존호가 더해져 ‘무성’에까지 이르렀으니 이는 ‘문성’인 공자와 비견될 수 있는 대단한 것이었습니다. 도교에서는 그를 협천대제, 복마대제, 익한천존 등으로 추앙했고, 한전 불교와 티베트불교에서는 호법신 중 하나가 되어 ‘가람보살’로 불렸습니다. 민간에서는 <삼국지연의>등 전통 작품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진수가 쓴 <삼국지>에서는 관우와 장비, 마초, 황충, 조운을 함께 엮어 전기<삼국지 촉서 관장마황조전>을 쓰기도 했습니다. 또한 나관중의 장편소설<삼국지연의>에서는 이들을 ‘오호대장군’이라 하였으며, 모종강은 이를 ‘삼절’의 ‘의절’이라 칭했습니다. 그 후 현대까지 관우는 사회 각지에서 존경의 대상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라이즈 오브 킹덤즈[완] > 사령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즈오브킹덤즈][사령관소개]레오니다스 1세 (0) | 2020.11.17 |
---|---|
[라이즈오브킹덤즈][사령관소개]화목란 (0) | 2020.10.04 |
[사령관소개]샤를마뉴 (0) | 2020.08.13 |
[사령관소개]콘스탄티누스 1세 (0) | 2020.08.09 |
[사령관소개]토미리스 (0) | 2020.08.09 |